CSMA/CD 프로토콜
CSMA/CD 프로토콜
버스형에 적용, 다른 컴퓨터에서 버스를 사용중인지 신호를 감지하여 접근여부를 결정하며, 현재는 사용하지 않지만 여러 스테이션에서 전송을 시도하여 충돌이 일어날 때를 감지하여 접근을 제어한다.
CSMA/CD 프로토콜 동작
ㄱ. 송신을 원하는 호스트는 송신하기 전에 다른 호스트가 채널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조사
ㄴ. 만일 채널이 빈 상태이면 전송을 시작하고 채널이 사용중이면 계속 감사하고 있다가 빈 채널이 감지되는 즉시 전송한다.
ㄷ. 전송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채널을 감시하여 전송중인 데이터에 충돌이 발생되는지를 조사한다.
(충돌 발생은 정상적은 데이터 송수신시 적용되는 전압 레벨보다 훨씬 높은 레벨의 검출로 인지)
ㄹ. 만일 충돌이 감지되면 전송은 즉각 중지되고 충돌을 알리는 jam 신호를 전송한다.
(jam 신호는 32비트에서 48비트의 길이를 갖는 특수한 프레임)
ㅁ. jam 신호 송신후 일정시간 후에 재전송을 시도하는데 이시간은 충돌이 재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대기 프로토콜에 의해 결정된다.
CSMA/CD 프로토콜 충돌
CSMA/CD 의 접근매체 제어기능은 송신하는 동안 송신한 내용의 충돌여부를 인지함을 근간으로 한다. 이러한 조건은 송신 프레임에 대한 최소 길이의 제약으로 나타낸다.
네트워크 사이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호스트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 송신한 테이터가 착신지에 거의 다 도달해서 충돌이 일어 났다면 충돌된 신호가 다시 발신 호스트까지 돌아와서 충돌이 인식되기 까지는 두 호스트간 전송시간의 두 배가 된다.
따라서 발신 호스트는 최소한 이 시간 동안은 계속해서 패킷을 송신하여야만 송신중에 자신이 송신한 패킷에 대한 충돌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전송패킷의 솔록 타임은 최소한 가장 먼 호스트간의 전송시간의 2배가 되어야 하고, 이는 최소한의 패킷길이에 대한 요구조건으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