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그냥 닥치고 해;
상Q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Archive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total
  • today
  • yesterday
2009. 6. 19. 01:56 Computer/Network

< HDLC (High-level Data Link Control) >

1. 기본적인 특성

비 트 위주의 전송으로 데이터 링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대표적인 예인 HDLC는 링크제어를 위한 여러 가지 요구사항과 목적을 만족하기 위해 3가지 종류의 스테이션, 2개의 링크 구성방식, 3개의 데이터 전달모드를 정의하고 있다.

스 테이션의 종류는 주스테이션(primary station)과 부스테이션(secondary station) 그리고 혼합스테이션(combined station)으로 정의된다. 주스테이션은 링크 동작을 제어하는 스테이션으로, 주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을 커멘드(command, 즉 명령)이 한다. 부스테이션은 주스테이션의 제어하에 동작하며, 부스테이션에서 발생하는 프레임을 응답(response)이라 한다. 여기서 주스테이션과 각 부스테이션은 개별적으로 논리적 링크를 유지 한다 혼합스테이션은 주스테이션과 부스테이션의 특징을 혼합한 스테이션으로, 커멘드와 응답 프레임 모두 출력 할 수 있다.

링 크의 구성방식은 불균형(unbalanced) 구성과 균형(balanced) 구성형태를 이룬다. 불균형 구성은 지점간 또는 멀티포인트 회선에서 모두 사용되며, 하나의 주스테이션과 하나 이상의 부스테이션으로 구성되고, 반이중 및 전이중 전송방식을 지원한다. 균형구성은 지점간 회선에서만 사용되며, 두 개의 혼합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반이중 및 전이중 전송방식을 지원한다.


주스테이션

명령

  ──→

 

 

 

 

 

 

 

←──

  응답

 

 

 

 

 

 

 

 

부스테이션

 

부스테이션

 

부스테이션

 

(a) 불균형 구성

혼합스테이션

응답

←──→

혼합스테이션

←──→

명령

(b) 균형구성


[그림 1] HDLC 링크 구성형태


데 이터 전달 모드로는 표준 응답 모드(NRM: Normal Response Balanced Mode)와 비동기 균형모드(ABM: Asynchronous Response Mode) 가 있다. 표준 응답 모드는 불균형 구성에서 사용되며, 주스테이션은 부스테이션으로 데이터 전송을 개시할 수 있으나, 부스테이션은 주스테이션으로 부터의 폴(poll)에 대해서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비동기 균형모드는 균형구성에서 사용되며, 혼합스테이션중 어느 한쪽이 허가없이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 비동기 응답모드는 불균형 구성에서 사용되며, 부스테이션은 주스테이션의 허가없이 전송을 할 수 있다. (즉, 명령을 기다리지 않고 응답을 보내는 경우). 그러나 전송개시, 회선관리, 에러복구, 논리적 분리 등의 책임은 여전히 주스테이션이 맡는다.


NRM 은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대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며, ABM은 폴링 오버헤드가 없기 때문에 지점간 링크에서 자주 사용된다. 또한 ARM은 허브(hub)폴링 이나 부스테이션 전송을 개시할 필요가 있는 특수한 상황에서 드물게 사용되고 있다.


2. 프레임 구조

HDLC는 동기식 전송을 사용하며, 모든 전송은 프레임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한 가지 프레임 형식ㄹ은 모든 종류의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교환하기에 충분하다. [그림 2]는 HDLC 프레임의 구조와 각 구성필드를 보이고 있다.


헤더(header)

 

트레일러(trailer)

←----------------------→

 

←----------------------------→

 

FLAG

주소

제어

데이타

프레임검사(FCS)

플래그

(FLAG)

←──→ 

←──→ 

←──→ 

←───────→ 

16 or 32 

←────────→ 

←──→ 

bits

확장가능

확장가능

임의의 비트

 

 

     (Extendable)

(Extendable)

(Variable)

 

 

(a) HDLC 프레임 구조


 

1

2

3

4

5

6

7

8

 

정  보-프레임

0

N(S)

P/F

N(R)

I: information

감  시-프레임

1

0

S

P/F

N(R)

S: Supervisory

비번호-프레임

1

1

M

P/F

M

U: Unnumbened

 

N(S)=Send sequence number - 송신순서번호

N(R)=Receive sequence unmber - 수신순서번호

S=Supervisory function bits - 감독기능비트

M=Unnumbered function bits - 비번호기능비트

P/F=Poll/Final bit

 

(b) 제어 필드 형식


[그림 2] HDLC 프레임의 구조와 각 구성필드



플레그(flag) 필드

플 레그 필드는 프레임의 양 끝에 고유 비트 패턴인 01111110로써 제한하며, 한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므로 프레임의 동기화에 사용된다. 그런데 HDLC는 임의의 비트 패턴을 허용 하므로 데이터 필드내에 01111110의 패턴이 나오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트 스터핑(bit stuffing)이라는 방법을 사용한다. 비트 스터핑이란 데이터 필드에 1이 연속하여 5개 나타나면 그 뒤에 0을 첨가하여 플래그 패턴과 구별할 수 있게 하여주는 방법이다. 다음은 비트 스터핑의 예를 보인 것이다.


원래의 패턴 :

      11111 11111 110 11111 10 11111 10


비트 스터핑 후의 패턴 :

      11111 0 11110 110 111110 10 111110 10


비트 스터핑의 사용으로 임의의 비트 패턴이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삽입된다. 이러한 성질을 데이터 투명도(data transparency)라 부른다.


주소(address) 필드

주 소필드는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부스테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점간 회선의 경우는 주소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포함시킨다. 주소는 보통 8비트를 사용하지만 최하위 비트(LSB: Least Significant Bit)는 주소 필드의 마지막인지 아닌지에 따라 1또는 0이 되므로나머지 7비트 부분은 주소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11111111값을 가지는 하나의 8비트 주소는 기본형식과 확장된 형식 모두에서 모든 스테이션에 대한 주소로 인식된다. 따라서 주스테이션이 모든 부스테이션에게 프레임을 전송할 때 사용한다.


제어(control) 필드

HDLC 에서는 제어필드의 형식에 따라 3가지 종류의 프레임으로 분류된다. 정보-프레임(I-프레임: Information frame)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ARQ 방식을 사용하는 에러제어나 흐름제어를 정보-프레임에 실어 나르는 피기백(piggyback) 방법을 이용한다. 감독프레임(S-프레임: Supervisory frame)은 피기백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ARQ방식의 에러를 지원하며, 번호를 갖지않는 프레임(U-프레임: Unnumbered frame)은 그 외의 보조 링크제어기능을 제공한다. [그림 2]의 (a)와(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필드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비트에 따라 프레임의 종류가 나뉘어지며, 나머지 비트에 대한 내용은 HDLC의 동작에서 설명하였다. 기본적인 제어필ㄷ느느 3비트를 사용하며, [그림 2] (b)와 같이 제어필드 역식 확장 가능하다.


데이터(data) 필드

실 제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필드이며, I-frame과 U-frame에만 포함된다. 데이터필드는 임의의 비트패턴을 가질 수 있고, 그 길이는 표준으로 정해져있지 dskgdmsk 구현방법에 따라 최대치를 지정한다. 일반적으로 8비트의 배수를 가지게 된다.


프레임 검사 순서(FCS: Frame Check Sequence) 필드

CRC(Cyclic Redundancy Checks) 방식을 이용한 프레임의 에러 검출을 위한 필드로서 플래그를 제외한 프레임의 나머지 필드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정규 FCS는 16비트 CRC-CCITT를 사용하나 프레임 길이나 회선의 신뢰성을 위하여 32비트 CRC-32를 사용하기도 한다.


3. HDLC의 동작

HDLC의 동작은 두 개의 주스테이션간이나 주스테이션과 부스테이션간에 I-프레임, S-프레임, U-프레임을 교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F

A

C

In. (정보영역)

FCS

F

 

 

8비트

 

 

 

 

1

2

3

4

5

6

7

8

I-프레임용 제어필드

0

 

 

 

P/F

 

 

 

 

 

 

 

 

 

 

1

2

3

4

5

6

7

8

S-프레임용 제어필드

  1

 

0

S

S

P/F

 

 

 

 

 

 

 

 

1

2

3

4

5

6

7

8

U-프레임용 제어필드

  1

 

1

M

M

P/F

M

M

M

 

: 송신 순차 번호

: 수신 순차 번호

S  : 감시 기능 비트

M :  수신기능 비트

[그림 3] 세 가지 프레임 형식을 위한 제어필드




정보 - 프레임

HDLC 의 기본 동작은 사용자 데이터를 가진 정보-프레임의 교환에 있다. 각 정보-프레임은 확인 메시지와 프레임의 순서번호를 포함한다. 전송프레임의 순서번호필드가 다음에 예상되는 프레임의 번호이며, 그 이전의 프레임은 잘 받았다는 확인 메시지(ACK)의 역할을 한다. 또한 각 프레임은 P/F(Poll/Final)비트를 가지고 있는데 주스테이션이 부스테이션을 폴링하는 경우에는 P비트를 1로 설정하고 부스테이션이 보내는 응답의 마지막 프레임에는 final비트(F)를 1로 한다. 비동기 균형모드(ABM)나 비동기 응답모드(ARM)에서는 P/F 비트를 감시 프레임(S-frame)이나 비번호 프레임(U-frame) 교환을 지정하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감독-프레임

감 독-프레임은 흐름제어나 에러제어를 위하여 사용되며, 다음과 같이 4가지 기능 수신준비(RR), 수신불가(RNR), 거절(REJ), 선택적 거절(SREJ)을 제공한다. 수신준비(RR: Receive Ready)란 피기백하지 않는 경우의 확인 메시지에서 사용된다. 이때, 정보-프레임(I-frame)의 수신 순서번호 필드 N(R)에 다음에 받을 프레임의 번호를 나타낸다. 수신불가(RNR: Receive not Ready)란 수신준비(RR)를 보낼 때까지 더 이상의 정보프레임을 보내지 말 것을 요청하는데 사용한다. 거절(REJ : Reject)은 해-back-N ARQ에서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을 나타낸다. 즉,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의 모든 프레임의 재전송을 요청한다. 선택적 거절(SREJ: Selective Reject)이란 선택적 ARQ에서의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을 나타낸다. 즉,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재전송을 요청한다.


[표 1] S-프레임의 기능 (ID=S)

ꎏꎏ

ID번호

기능 코드

(code)

기          능

0 0

RR(receive ready)

-1을 포함하여 이 순차 번호까지의 모든 프레임을 ACK한다.

1 0

RNR(receive not ready)

일시적인 과부하 상황에 대처할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1과 -1까지 모든 프레임은 ACK이나 을 받을 준비가 안되어 있음을 알린다.

0 1

REJ(reject)

다음의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NAK을 의미하여 GBN과 유사하다. 그러나 -1과 그 이전의 모든 프레임들은 잘 받았음을 의미한다.


번호를 갖지 않는 프레임

전 달양식의 설정이나 정상적인 ARQ 방식이 적용되지 않을 때의 복구 절차등 여러 가지 제어 기능을 위하여 사용되며, 순서번호 필드가 없으므로 번호를 갖지 않는 프레임이라 한다. 중요한 기능인 모드설정(mode-setting) 커맨드와 응답으로 SNRM, SARM, SABM, DISC, UA 커맨드가 있다.

SNRM(Set Normal Response Mode)은 표준 응답모드로 설정되어 세트-모드로 확장된다. SARM(Set Asynchronous Response Mode)은 비동기 균형모드에 사용되며, 세트-모드로 확장된다. SABM(Set Asynchronous Balanced Mode)은 비동기 응답모드에서 세트-모드로 확장된다. DISC(Disconnect)는 논리적 링크접속을 끝냄을 나타내는 커맨드이며, UA(Unnumbered Acknowledgement)은 상기 세트-모드 명령 중 하나를 수신했음을 알린다. 즉 모드설정 커맨드는 주/혼합 스테이션이 부/혼합 스테이션의 모드를 초기화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해 전송하는 커맨드이고, 부/혼합 스테이션 UA(Unnumbered Acknowledgement)프레임으로 응답함으로써 받았음을 표시한다. DISC는 해당 주소를 가진 스테이션에게 전송스테이션이 동작을 잠시 중단하고 있음을 알리는데 사용된다.

[그림 4]는 HDLC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링크의 기동(setup)과 논리적 접속을 끝내는(disconnect) 동작을 예를 들어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데이터 링크 확립 방식>


많 은 단말기와 회선을 포함하고 있는 텔레프로세싱 네트워크(teleprocessing network)에서의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은 포트와 회선 등의 네트워크 공유 자원을 액세스하고 이용하기 위한 어떤 형태의 통제(discipline)나 제어를 요구한다. 가장 적합한 접근 방식은 우선 어떤 유형의 토신 회선 배치 구조 즉, 교환 점 대 점, 멀티포인트 또는 루프 구조를 이용하는가에 달려 있다. 그러나 이들 각 응용 환경에 대하여 트래픽 레벨, 요구되는 응답 시간 그리고 기타 요인 등에 따라 채택될 수 있는 몇 가지 일반적인 제어 영역이 있다. 이러한 영역에는 거의 제어가 없는 것(contention based system)으로부터 주국(master station)의 폴링(polling)과 같은 강력한 중앙 집중 제어 방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1. 회선 경쟁 선택(contention)

회 선 제어 형태중 가장 간단한 것은 회선 경쟁 선택(contention)방식으로 알려져 왔다. 이 방식에서 단말기들은 회선의 액세스를 위하여 서로 경쟁하며, 멀티포인트 회선에서 회선 경쟁 선택 제어를 하게 되면 마치 여러 회선이 한 분기점에서 분리되어 나간 전화와 마찬가지가 된다. 단말기가 전송할 메시지가 있으면 점유되지 않은 회선에 요청을 하여 메시지의 전송을 시작하고, 모든 회선이 점유된 상태이며 사용 가능한 회선이 나올 때까지 단말기는 대기하여야 한다. 호스트 컴퓨터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은 원격 단말기가 보내는 출력 서비스 요청을 대기 행렬(queue)로 형성할 수 있고 이것은 first-come/ first-serve 방식이지만 필요에 따라 달리 정의된 순서로 서비스를 할 수 있다. 콘텐션(contention)은 보통 제어의 범위가 좁은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각 단말기들이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지 않더라고 오랫동안 회선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텐션 방식은 트래픽량이 많은 멀티포인트 회선 네트워크에서는 그다지 효율적인 방식이 아니므로 전형적으로 이와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곳에서는 폴링이나 그 외의 다른 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콘텐션은 주로 점 대 점방식으로 연결된 회선에서 많이 이용되며 멀티포인트 방식에서는 우연히 쌍방이 동시에 콘텐션 요청을 하게 되면 문제가 생기게 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하여 보통 둘 중에서 어느 한쪽을 주국으로 지정하게 되는데 주국이 회선 점유를 시도하고 있는 동안에는 콘텐션 요청 메시지를 무시하게 된다.


콘 텐션 방식이 성공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응용 분야중 대표적인 예로는 [그림 5]의 인공 위서 채널의 구조를 가진 하와이 대학을 중심으로 한 무선 패킷 교환망인 ALOHA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에서 인공 위성의 수신부는 first-come/first-serve 방식으로 원격 단말기의 콘솔(console)들이 그 점유를 다투고 있다. 만약에 두 개의 단말기가 [그림 6]에서처럼 인공 위성의 수신부를 동시에 동작시킬 때에는 내장되어 있는 검출 후 재전송하는 오류 제어 절차가 어떤 일정한 시간 후에 다시 재전송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설계할 경우 중요한 요구 사항은 서로 다른 단말기가 재전송을 시도하기 전에 대기하는 시간 간격이 달라야 한다는 점이다. 이 기능이 없으면 연동(interlock)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재전송을 시도할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호출 중복이 일어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ALOHA시스템에서 콘덴션 방식이 개발된 이유는 폴링 절차가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전파 지연 시간(propagation delay time)이 긴 인공 위성 채널에서는 비효율적이며 아울러 채널의 용량이 커서(24kbps) 하나의 단말기가 장시간 채널을 점유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만 일 어떤 단말기의 최대 회선 점유 시간에 제한을 주는 응용이라면 루프 전송 배치 구조에서도 콘덴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림 7]에서 루프는 시간격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원격 국(station)이 루프 제어기나 다른 국에 메시지를 보내고 싶으면 요청에 의해 프레임을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런데 각 프레임은 점유 유무를 표시하는 꼬리표와 그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의 목적지를 표시하는 주소를 지니게 된다. 프레임이 계속 루프를 순환함에 따라 각 국은 그 프레임에 자신의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유무를 검사한다. 만일 자기의 주소가 발견되면 프레임의 내용은 옮겨지고 점유 꼬리표는 “0”이 된다. 데이터의 송신을 원하는 국은 다음의 점유되지 않은 프레임을 기다렸다가 전송할 데이터를 실어 주기만 하면 되는데 이 때는 물론 루프 내에서의 목적지 주소를 함께 실어야 한다. 효율적인 루프 통신에 중요한 사항은 하나의 국이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여러 번 점유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으면 그 지점에서 먼 위치에 있는 국은 오랫동안 회선의 액세스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2. 폴링(polling)

폴 링의 의미는 한 문장으로 나타내면 「Do you have anything to send?」라고 할 수 있는데 주로 집중 제어 방식에서 이용되며 서로 주국이 되려는 경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국이 종국을 하나씩 선택하여 메시지 송신 요구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즉, 전송할 데이터의 유무를 묻고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면 전송을 허용하고 없다면 다음 단말기로 넘어가는 방식이다. 폴링 절차는 dial-up 회선과 루프 회선 등과 같은 응용에서도 가끔 변형된 기법으로 이용되기도 하지만 주로 멀티포인트 회선에서 사용되며 콜-콜(roll-call)폴링과 허브-고-어헤드(hub-go-ahead)폴링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이 들 중 롤-콜 폴링이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것은 하나의 중앙 국이 정의된 순서에 따라 각 원격 국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를 물어보는 것이다. 만약에 전송할 데이터가 없으면 [그림 8]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송할 데이터가 없음을 의미하는 코드로 응답하게 되고 전송할 데이터가 있으면 다음 국을 폴링하기 전에 중앙국으로 전송한다. 이 동작 과정은 [그림 9]의 타이밍도에 표시하였다.


폴 링은 보통은 컴퓨터 공급업체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그램의 제어를 받아서 이루어지나 각 국의 주소는 응용에 맞게 적절히 수정된다. [그림 10]은 멀티포인트 회선에서의 롤-콜 폴링 시스템을 나타내는데 각 단말기는 고유한 주소를 가지게 되고 이 주소 코드를 지니는 폴링에 대해서만 응답하게 된다. 한 개 이상의 국에 동일한 메시지를 보내고자 할 때는 그룹 주소가 통용될 수도 있다.


폴 링을 행하는 순서는 폴링 목록에 나타나는 주소의 순서와 빈도수에 따라 결정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폴링 테이블에 배열되어 있는 주소 항목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수정함으로써 폴링의 빈도수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특정국을 다른 것 보다 2배 더 자주 폴링하고 싶으면 폴링 목록에 해당 주소를 2배 더 많이 기재하면 된다. 하루 중에 트래픽량이 가장 많은 국을 더 빈번하게 폴링하게 하는 수도 있다.

롤 -콜 폴링은 일반적인 폴링과 특정 폴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전자는 국에 부착되어 있는 특별한 기기를 따로 지정하지 않고 국 제어기에게 문의를 하는 것이고 후자는 국 조소와 단말기, 프린터 등의 기기 주소(device address)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 폴링에서는 국에 폴링이 들어오면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어떠한 기기라도 회선을 액세스 할 수가 있다.

허 브-고-어헤드 폴링은 롤-콜 폴링 방식의 대안으로 사용되는데 제어 문자를 더 적게 사용하고 회선상에서 오버헤드 시간을 더 적게 한다. 그러나 특별한 신호 변환기와 국 기기의 수정을 필요로 한다. [그림 11]에서 보면 이 방식이 멀티포인트 회선에서 사용될 경우, 보통의 멀티포인트 회선에 루프 제어 채널을 논리적으로 겹쳐 놓은 것과 같다.


이 러한 루프 제어 채널은 하나의 폴링 메시지를 [그림 11]과 같이 A→B→C→․․․→G순으로 국에서 국으로 건네주고 각 원격 국은 그 폴링을 수신하고 나서 보유하고 있던 데이터 메시지를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중앙국에 전송한 다음 폴링 메시지를 중앙에 더 가까운 다음 국으로 전달해 준다.

허 브-고-어헤드 폴링의 장점은 롤-콜 폴링에서 각 단말기에 대한 상태를 물어볼 때마다 들어가고 나와야 하는 전송을 위한 시나리오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점이고 단점은 제어 루프의 신뢰도가 매우 높아야 한다는 점과 공중 반송 네트워크 및 사용자 쪽에 특별한 하드웨어의 보완이 필요한 점이다. 이러한 폴링 방식에서는 응답 시간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고 여러 개의 국이 하나의 회선을 공유하므로 경비 절감이 이루어지는데 이 때문에 많은 항공 회사의 좌석 예약 네트워크에 허브-고-어헤드 폴링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루 프 제어에도 허브-고-어헤드 폴링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다. [그림 11]의 멀티포인트 구조에서는 데이터 경로와 제어 경로가 따로 있는 반면 루프 시스템에는 오직 하나의 경로만이 있어 이를 통하여 제어 신호와 데이터 메시지가 시분할의 형식으로 삽입된다. 하나의 폴링 제어 메시지가 국에서 국으로순환되고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국은 폴링 메시지를 붙잡은 후에 전송 데이터 문자를 루프상에 실어 보내며 모든 데이터 문자가 전송된 후에는 붙잡아 놓은 폴링 메시지를 루프상에 다시 넣어준다.

또 다른 루프 방식의 변형은 전송할 메시지를 가지고 대기하고 있는 국을 파악하기 위하여 폴링 메시지를 루프내에서 완전히 일회전시킨 후, 다음 2번째 주기에서야 비로소 첫 번째 순환 주기에서 예약을 해놓은 각 단말기에 대해서 회전 액세스가 허용된다. 따라서 이 방식은 회선을 어느 정도 계획하여 사용하는 것이 되며 상당한 제어 오버헤드가 수반된다. 마지막으로 언급할 수 있는 폴링의 단점은 단말기가 원하는 시간에 메시지를 보낼 수 없고 오직 문의를 받은 다음에야만 전송이 가능하다는 점인데 이러한 이유로 단말기 이용자들이 원격 컴퓨터에 대하여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연결을 원하는 응용에서는 폴링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다.

모 든 원격 모뎀 수신부의 시스템은 주 국 모뎀(master station MODEM)의 송신기와 영구적으로 동기되는데 원격 국은 폴링 메시지에서 자신의 국 주소를 찾아내는 경우에만 동작된다. 폴링 응용 시스템에서는 모뎀의 동기 지연 시간이 너무 커져 이용자 응답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기 때문에 보통은 4,800bps 이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대 부분의 실시간(real time) 폴링 시스템에서는 각 원격 국이 초 또는 밀리 초 단위의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폴링되도록 설계되는데 앞의 [그림 8]과 [그림 9]는 전송할 메시지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에 따른 국에 대한 폴링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여 주고 있다. 회선상에서 모든 국을 완전히 순환하는데 걸리는 총 폴링 시간은 모든 국들에 대하여 소요되는 시간을 모두 합한 것인데 여기에는 전송할 메시지를 가진 국도 있고 또는 가지지 않은 국도 있다.

적 절히 설계된 폴링 시스템은 트래픽이 가장 번잡한 시간에 불필요한 지연 없이 전송을 대기하고 있는 메시지를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그림 8]과 [그림 9]을 볼 때 회선 전파 시간(propagation time), 메시지 길이, 모뎀 동기 시간(synchronization time) 등은 모두 직접적으로 폴링 주기 시간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이용자 응답 시간에도 영향을 준다.


3. 선택 절차(selection procedure)


선 택 절차는 「Are you ready to receive data?」라고 할 수 있는데 폴링 절차가 원격 국으로부터 입력을 요청하는데 쓰이는 것에 비해 이를 보완하는 기능으로서 선택(selection) 또는 어드레싱(addressing)은 원격 국에 여러 유형의 회선을 통하여 출력 전송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즉, 데이터 수신 가능 여부를 묻고 가능하다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식이다.

선 택은 select-hold 와 fast-select 의 2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select-hold 방식은 2단계 과정을 거치는데 하나의 원격 국이 수신 준비가 갖추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먼저 응답하도록 요청하고 만약 준비가 되어 있으면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그림 [그림 11]에 잘 나타내고 있다. fast-select 방식은 원격 국의 준비완료 여부를 미리 문의하지 않고 출력 메시지를 즉시 내보내며 회선의 질이 좋은 경우라면 이 방식이 특히 더 효율적이라 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더 복잡한 오류 복원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Compute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주소  (0) 2009.06.19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0) 2009.06.19
CSMA/CD 프로토콜  (0) 2009.06.19
LAN 의 거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0) 2009.06.19
PPP(Point-to-Point Protocol) & TCP/IP  (0) 2009.06.19
posted by 상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