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주소의 흥미로운 특징 중의 하나는 어떤 어댑터도 동일한 주소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IEEE 기관이 MAC 주소 공각을 관리한다. 어떤 회사에서 어댑터를 제조하려면
어댑터의 MAC 주소는 평면 구조를 가지며 어댑터의 위치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다. 이더넷 카드가 있는 휴대용 컴퓨터는 어디에 있든지 항상 동일한 MAC주소를 가진다. 이에 반해서 IP 주소는 계층 구조(즉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를 가지면 노드의 IP 주소는 호스트가 이동하면 변경되어야 한다. 어댑터의 MAC 주소는 평면 구조 주소를 가진다는 점과 사람이 어디로 가든지 바뀌지 않는다는 점에서 주민등록번호와 비슷하다. IP 주소는 계층적이고 사람이 이사할 때마다 변경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우편 주소와 유사하다. 우편 주소와 주민등록번호 두 가지를 다 가지고 있는 것이 사람을 찾는 데 유용한 것처럼, 노드 역시 네트워크 계층 주소와 MAC 주소 모두 가지는 것이 유용하다.
어댑터가 프레임을 목적지 어댑터로 전송할 때, 송신 어댑터는 프레임에 목적지 어댑터의 MAC 주소를 넣고, 그 프레임을 랜상으로 전송한다. 만약 랜이 브로드캐스트 랜(802.11과 많은 이더넷 랜)이라면, 프레임은 랜상의 모든 어댑터들에 의해서 수신되고 처리된다. 특히, 프레임을 수신한 각 어댑터들은 프레임 안의 목적지 MAC 주소가 어댑터 자신의 MAC 주소와 일치하는지를 검사할 것이다. 만약 일치한 다면, 어댑터는 프레임에 포함된 데이터그램을 추출하고 그 데이터그램을 부모 노드의 프로토콜의 스택의 위쪽으로 전달한다. 만약 일치하지 않는다면 어댑터는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그램을 프로토콜 스택의 위쪽으로 전달하지 않고 그 프레임을 폐기한다. 따라서 어댑터가 프레임을 수신하면 단지 목적지 노드의 어댑터만이 부모 노드를 인터럽트할 것이다.
그러나 때때로 어떤 송신 어댑터는 랜상의 다른 모든 어댑터가 자신이 전송하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철리하기를 원한다. 이 경우에 송신 어댑터는 프레임의 목적지 주소 필드에 특수한 MAC 브로드캐스트 주소(broadcast address)를 넣는다. 6바이트 주소를 사용하는 랜(이더넷과 토큰 전달 랜)에서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48개의 1로 된 비트열이다(즉, 16진표기법으로 FF-FF-FF-FF-FF-FF이다).
'Compute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0) | 2010.04.30 |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0) | 2009.06.19 |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0) | 2009.06.19 |
CSMA/CD 프로토콜 (0) | 2009.06.19 |
LAN 의 거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0) | 2009.06.19 |